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7 귀찮은데 귀여운 거위 Mac에서 키우기 - Desktop Goose 어느날 컴퓨터에서 거위를 키울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 혼자서 돌아다니고 이상한 밈도 가지고 오고 마우스까지 가지고 간다는 말에 호기심 발동 ㅋ https://samperson.itch.io/desktop-goose Desktop Goose by samperson I have created a goose that lives on your desktop. He is an asshole. samperson.itch.io 위 사이트로 가서 다운로드를 해주자. Download Now를 해주면 된다. 그럼 이런 결제 페이지가 나오는데 유료 프로그램이 아니라서 No Thanks, just take me to the downloads를 눌러주면 된다. 두가지 운영체제 중 하나를 선택해주면 된다. 난 맥이니 첫번째를.. 2024. 2. 7. [hono] npm install cors 할 필요없이 hono cors 사용하기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통신을 시도하니 cors 정책으로 차단되었다고 나왔다. 바로 bun add cors를 하던 중에 bun이나 hono에서 따로 제공해주는게 있지 않을까 싶어 공식문서를 뒤져보니 바로 나왔다. ㄱㅇㄷ 따로 라이브러리 설치할 필요 없이 cors()를 하면 알아서 import로 가져오니 완전 굳굳 👍 2024. 2. 4. [node-cron] 메모리에 저장되는 스케줄러를 Redis에 저장해서 영구보관하자 문제 발생 수강생이 강의 신청을 하면 강의일로부터 하루 전에 예약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 수강생이 많을수록 예약 메시지도 많아진다. node-cron으로 스케줄러를 통해 강의일로부터 하루 전에 예약 메시지를 보내고 있었는데 애플리케이션 단에서 수정을 하게 됐다. 서버에서 도커로 돌아가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시키고 이미지를 풀 받은 다음 다시 올렸다. 그러자 예약 메시지들이 오지 않는다. 왜일까? 그건 제목에도 적었듯이 node-cron이 메모리에 스케줄러를 저장시키기 때문이다. 즉, 도커를 다시 시작하자 메모리가 리셋되면서 스케줄러가 없어진거다 🤯🤯🤯 해결법으로 Redis에 저장하자 꼭 Redis가 아니어도 된다.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도 되는데 난 Redis를 사용했다. 그렇다면 Redis에 무엇을 .. 2024. 2. 2. Bun에서 서버사이드 렌더링 NextJS 간단 사용하기 NextJS 준비 미리보기에서 동적으로 이미지와 제목을 변경하기 위해 서버사이드 렌더링을 사용하기로 했다. 런타임을 nodejs로 할까 하다가 최근에 계속 bun으로 작업해서 모든 사이드 프로젝트 런타임을 bun으로 통일했다. 살짝 걱정되는건 아직 완벽하게 bun에서 NextJS를 제어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NextJS가 NodeJS에 맞춰 개발을 하다보니 그런 것 같다. 잘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bun run start를 했더니 Error: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 open '/WEB/.next/BUILD_ID' 이런 오류를 만나게 됐다. 공식문서를 보니 bun run dev를 하라고 해서 했다. 오~ 잘 나왔다. (혹시 이래도 안되면 bun run buil.. 2024. 2. 1. crypto 대신 Bun.CryptoHasher 사용하기! 고유한 Id를 만들어하는데 암호화를 위해 crypto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려고 할 때 갑자기 Bun에서 지원해주는게 없나 싶어서 찾아봤다. 그랬더니 유레카! const hasher = new Bun.CryptoHasher("sha256"); const hasherData = name + category; //여기에 암호화할걸 넣기 hasher.update(hasherData); const hash = hasher.digest("hex").substring(0, 24); 이렇게 코드를 짜주면 crypto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crypto을 굳이 안 깔고 기본 내장 함수로 할 수 있어서 좋았다 👍 bun 공식 문서를 한 번 날 잡고 꼼꼼하게 읽어서 활용할 수 있는걸 다 활용해야겠다. fin. 2024. 1. 31. #7 가로 스크롤 만들기 - overflow 스크롤 안될 경우 뭉치에 태그 기능이 도입됐다. 이 태그를 통해 사용자들이 자신이 저장한 태그별로 작품들을 볼 수 있게 할 생각이다. 이런식으로 UI/UX를 짰고 인제 만들면 됐는데 실제로 반영한 결과 태그가 많으니깐 보기가 안좋아서 가로 스크롤을 하기로 했다 🔥 해본 결과...ㅋ 안 넘겨진다. 그러다가 아래 사이트에서 중요한 정보를 얻었다. https://www.codeit.kr/community/questions/UXVlc3Rpb246NWUzNDUyMjU4MGU1MTMzNzNkOTYyNjJk overflow : scroll; 에서 스크롤이 생기지 않는 이유 www.codeit.kr 브라우저의 너비를 조절해보다라고 해서 원래 아이폰 프로 14 맥스에서 아이폰 SE로 해보니 잘됐다 ❗️ 또한 너비를 75%에서 100%로 .. 2024. 1. 31. #6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하기 구버전인 운영 서버와 신버전인 개발 서버의 데이터가 다르다면? 지난 11월에 운영 서버를 올렸다. 두달이 지난 지금 개발 서버와 격차가 벌어졌는데 가장 큰 문제가 생겼다. 바로 데이터 구조가 바뀌었다 홀리쉣! 개발 서버에선 기존 데이터들이 삭제되어 데이터 구조가 바뀜으로써 일어나는 이슈를 파악하지 못했다. 그렇다고 운영 서버의 데이터도 날려버릴 수 없고... 결국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하기로 결정했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그거 어떻게 하는건데? 우선 데이터의 전과 후를 잘 알아야 한다. 그래야지 스크립트를 잘 짤 수 있다. 뭉치의 경우 workList에 큰 변화가 있었다. // before "workList": [ "6566feee11", "656feee199", ... } //after "workLis.. 2024. 1. 29. [Bun 시리즈] #4 Bun에 어울리는 프레임워크 고르기! - express vs fastify vs hono 그대 express를 왜 버리는가? NodeJS + express + TypeScript 조합은 국룰 👍 express라는 프레임워크를 쓰는 이유는 국룰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정~말 많은 이들이 쓰기 때문이다. 그만큼 안정성이 있다는거고 문제가 발생해도 많은 이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express를 주제로 한 글도 많다. 하지만 런타임을 Bun으로 쓰기로 한거 프레임워크를 express로 하기엔 신식 + 구식 느낌이여서 싫다. 이번 기회에 프레임워크도 신식 느낌으로 프레임워크 두가지를 알아봤고 최종적으로 하나를 선택했다. fastify와 hono 간단 소개 아마 fastify는 들어봤을거다. 이름처럼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오버헤드를 자랑하며 고성능을 목표로 하는 프레임워크다. 하지만 인제 hon.. 2024. 1. 23. [Git] Your local changes would be overwritten by checkout의 선택지마다 다른 점 비교 vscode로 이런저런 브랜치를 옮겨다니다가 심심치 않게 보는 안내문구다. 현재 위치하는 브랜치와 옮겨갈려는 브랜치 간의 변경사항이 충돌할 때 나타난다. 3가지 선택지를 주는데 각각 어떤 점이 다른지는 알고 누르도록 하자. 1. Stash & Checkout 임시 저장소(stash)에 저장하고 체크아웃을 진행한다. 나중에 이 변경사항을 다시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현재 작업을 유지하면서 다른 브랜치로 전환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git stash pop 혹은 git stash apply) 2. Migrate Changes 현재 변경사항을 새로운 브랜치로 옮기고 해당 브랜치로 체크아웃한다. 현재 변경사항을 별도의 작업으로 관리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3. Fore Checkout 현재 변경사항을 무시하.. 2024. 1. 18. 이전 1 2 3 4 5 ··· 1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