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Side/Platform > Azure

[Azure] AKS를 생성한 당신..! 요금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 드립니다

developerBeluga 2023. 4. 27. 11:30
728x90
반응형

 

 

 

클라우드 구축하면 가장 걱정되는 것은? 요금!

개발자들 뿐만 아니라 실무진, 대표님이 가장 걱정하는 것이 바로 클라우드 요금이라고 생각한다.

드디어 우리 프로젝트도 클라우드를 구축하기 시작했는데.. 너무 두려웠다 😱

그래서 내가 한 일은 매일 Azure 로그인을 해서 수시로 요금 청구서를 조회했다.

 

 

잠시 눈물 좀 닦고 오겠습니다.

근데 이 Azure에서 AKS 요금를 조회할 때 신기한 것을 발견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Azure에서 요금 보는 방법

우선 Azure에서 요금 보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왼쪽 상단에 있는 가로선 3개를 누르면 맨~ 아래에 Cost Management + Billing이 있다.

 

그럼 여러분의 계정의 요금 볼 수 있는 곳으로 넘어간다.

회사 계정일 경우 여러 서비스가 혼합되어져 있기 때문에 우리 팀 서비스 요금을 자세히 보기 위해 왼쪽에 있는 Cost Management를 누르자.

 

그럼 또 이동되면서 Cost Management로 들어왔다.

우리는 Cost analysis(preview)를 누르면 된다.

그럼 Resource groups가 나오는데 혹시 안나오면 창 끄고 다시 Azure로 들어가길 바란다.

 

 

 

여기 문제 하나 드립니다.

az aks create -g aaa -n hi

az 명령어로 aks를 생성했다고 하자.

-g 뒤가 리소스 그룹 이름이고 -n 뒤가 aks 클러스터 이름이다.

그럼 hi라는 aks 클러스트는 어떤 리소스 그룹 이름으로 만들어질까?

 

당연히 aaa이다.

aaa 리소스 그룹을 들어가면 hi라는 클러스터가 보일 것이다.

하지만..!!!!

 

요금 청구서엔 aaa 금액이 움직이지 않고 MC_aaa_hi 라는 이름의 리소스 그룹 이름으로 금액이 책정된 것을 알 수 있다.

분명 우리는 aaa라는 리소스 그룹을 사용한다고 했는데 뜬금없이 MC_aaa_hi라는 리소스는 어디서 생긴걸까?

 

 

 

이유는 말이죠

바로 AKS를 만드면 해당 클러스를 위한 리소스 그룹 외에도 "MC_<리소스 그룹 이름><AKS 클러스터 이름><리전>" 형식의 리소스 그룹이 생성된다.

이 리소스 그룹에서는 AKS 클러스터의 마스터 노드, 로드 밸런서, 네트워크 리소스 등 클러스터 인프라 리소스를 보유한다고 한다.

그래서 aaa 리소스 그룹에서도 AKS 클러스터를 볼 수 있었던 것이고 뜬금없는 MC_aaa_hi라는 리소스 그룹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결론

Azure에서 AKS를 생성했다면 요금 볼때 MC_<리소스 그룹 이름><리전>의 요금을 확인해라.

안그러면 나처럼 aaa 리소스 그룹 요금만 보고 좋아했다가 나중에 이런 xx..! 같은 현상이 나온다.

(5천원인줄 좋아했다가 18배 나온 사람이 하는 말)

 

요금에 놀라긴 했지만 왜 AKS를 생성하면 리소스 그룹이 또 생성되는지 궁금해서 찾아봤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