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Github 프로필 Daily 코딩 시간 적용해보기 ✨
![](https://blog.kakaocdn.net/dn/dBzf78/btrp7ivKHQJ/gF0xKG0i11AGOsps8PGLLK/img.png)
개인적으로 Github 프로필 꾸미기에 진심인 사람으로써
너무나도 간지나는 꾸미기를 발견하여 공유하고자 포스팅했습니다 😁
매우 쉽게 적용할 수 있으니 한 번 해보세요 🙌🏻
1. Repository를 Fork 하기
https://github.com/techinpark/productive-box
GitHub - techinpark/productive-box: Are you an early 🐤 or a night 🦉? Let's check out in gist
Are you an early 🐤 or a night 🦉? Let's check out in gist - GitHub - techinpark/productive-box: Are you an early 🐤 or a night 🦉? Let's check out in gist
github.com
![](https://blog.kakaocdn.net/dn/QFJIl/btrp7SXStxg/oNKzur5mqQMmXOoV56lnX0/img.png)
원작자의 Repository에 들어가서 fork를 해주세요.
Fork 버튼만 누르면 알아서 본인 Repository로 옮겨집니다.
2. Public gist 생성하기
Discover gists
GitHub Gis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gist.github.com
위 링크를 눌러 새로운 gist를 생성해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dKq0iW/btrp66n5MQk/Kh6xTaI7pSFXdX5g3Ynq7k/img.png)
gist의 제목과 내용은 아무거나 써도 됩니다.
Create public gist로 gist를 생성해주면
![](https://blog.kakaocdn.net/dn/cJvHdi/btrqgaiELEI/mbKzR5IO07Ly2K7ayUkkRK/img.png)
url이 형성이 됩니다.
여기에서 맨 뒤에 있는 GIST_ID를 메모장이나 어떤 곳에 적어두시길 바랍니다 ❗
3. Github Token 생성하기
Github에 다시 돌아가서 Setting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로 들어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Pl8W/btrp8rMuSxT/cNXzgolWg5eZjClzWbfLoK/img.png)
Generate new token을 눌러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W9uO/btrp95vENm2/TlSKzhYFQe0RkkV3XM0K0K/img.png)
Note에는 아무거나 적고
repo와 gist를 체크한 후 토큰을 생성해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omZe6/btrp7SjhLwk/uD0Pm3qVBHp30tkEOBPgH1/img.png)
그렇게 생성된 토큰의 값을 잘 적어두세요 ❗
토큰 값은 다시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따로 적어두지 않으면
다시 생성해주셔야 합니다.
4. 발근 받은 Token과 GIST_ID 적용하기
여러분의 저장소에서 Fork 했던 repository를 눌러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tKzWE/btrqbGoQ6QU/mGSv6Fu4Iy8zBmuThHsKA1/img.png)
Settings > Secret로 들어가서
New repository secret를 눌러 총 2개의 환경변수를 생성해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5qLf/btrp7Rq82tm/pD8I7lPvWtIuKDrFZX8Ke1/img.png)
GIST_ID에는 gist 생성된 후 url 뒤에 있던 ID를 적어주세요.
GH_TOKEN에는 Github Token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절~대 환경변수의 이름이 틀리면 안됩니다 ❗
무조건 GIST_ID, GH_TOKEN라고 적어주세요.
솔직히 여기까지 하면 된다는포스터를 보고 따라했다가
적용되지 않아서 왜 그럴까 찾아본 결과 해야하는 과정이 하나 더 있더라고요.
5. Fork한 Repository의 Action 탭에 들어가서 action 활성화 시키기 ✨
![](https://blog.kakaocdn.net/dn/nazlc/btrp7S4Fh7P/7Ez43qNfATErSdMuOmmw61/img.png)
원래 Actions를 누르면
I understand my workflows, go ahead and enable them 이라는
초록색 버튼이 보일 것입니다.
그것을 눌러주시고 Update gist에서 Enable workflow를 눌러 활성화 시켜주시면 됩니다.
6. 당장 결과 확인하기
![](https://blog.kakaocdn.net/dn/I3XKz/btrp7GJso8K/nyj53TZjScnQRdwkGOXKOk/img.png)
Fork한 Repository의 READMD.md에 공백을 입력하고 Update 해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UUJK9/btrp54xO2j3/WrKfEeols8yoqtYkgwYKxK/img.png)
Actions가 돌아가면 workflows가 정상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I6mx/btrqgaQv2kp/72wghYuI4cHlT5klrvwWs0/img.png)
인제 Github 프로필에 가서 Customize your pins를 눌러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HtrVX/btrqbGblrz9/oi4D4ozB9ACOjrMFEQ9z3K/img.png)
I'm a ~ 와 같이 이름이 변경된 gist를 선택하시면
![](https://blog.kakaocdn.net/dn/bnpXnf/btrqbGCro0x/By9ajRROd0RtOmOmuvqKN0/img.png)
짜잔- 👍
Pinned에 예쁘게 잘 꾸미기 적용되었네요.
그럼 여러분들도 Github 프로필 예쁘게 꾸미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