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구축하면 가장 걱정되는 것은? 요금!
개발자들 뿐만 아니라 실무진, 대표님이 가장 걱정하는 것이 바로 클라우드 요금이라고 생각한다.
드디어 우리 프로젝트도 클라우드를 구축하기 시작했는데.. 너무 두려웠다 😱
그래서 내가 한 일은 매일 Azure 로그인을 해서 수시로 요금 청구서를 조회했다.
잠시 눈물 좀 닦고 오겠습니다.
근데 이 Azure에서 AKS 요금를 조회할 때 신기한 것을 발견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Azure에서 요금 보는 방법
우선 Azure에서 요금 보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왼쪽 상단에 있는 가로선 3개를 누르면 맨~ 아래에 Cost Management + Billing이 있다.
그럼 여러분의 계정의 요금 볼 수 있는 곳으로 넘어간다.
회사 계정일 경우 여러 서비스가 혼합되어져 있기 때문에 우리 팀 서비스 요금을 자세히 보기 위해 왼쪽에 있는 Cost Management를 누르자.
그럼 또 이동되면서 Cost Management로 들어왔다.
우리는 Cost analysis(preview)를 누르면 된다.
그럼 Resource groups가 나오는데 혹시 안나오면 창 끄고 다시 Azure로 들어가길 바란다.
여기 문제 하나 드립니다.
az aks create -g aaa -n hi
az 명령어로 aks를 생성했다고 하자.
-g 뒤가 리소스 그룹 이름이고 -n 뒤가 aks 클러스터 이름이다.
그럼 hi라는 aks 클러스트는 어떤 리소스 그룹 이름으로 만들어질까?
당연히 aaa이다.
aaa 리소스 그룹을 들어가면 hi라는 클러스터가 보일 것이다.
하지만..!!!!
요금 청구서엔 aaa 금액이 움직이지 않고 MC_aaa_hi 라는 이름의 리소스 그룹 이름으로 금액이 책정된 것을 알 수 있다.
분명 우리는 aaa라는 리소스 그룹을 사용한다고 했는데 뜬금없이 MC_aaa_hi라는 리소스는 어디서 생긴걸까?
이유는 말이죠
바로 AKS를 만드면 해당 클러스를 위한 리소스 그룹 외에도 "MC_<리소스 그룹 이름><AKS 클러스터 이름><리전>" 형식의 리소스 그룹이 생성된다.
이 리소스 그룹에서는 AKS 클러스터의 마스터 노드, 로드 밸런서, 네트워크 리소스 등 클러스터 인프라 리소스를 보유한다고 한다.
그래서 aaa 리소스 그룹에서도 AKS 클러스터를 볼 수 있었던 것이고 뜬금없는 MC_aaa_hi라는 리소스 그룹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결론
Azure에서 AKS를 생성했다면 요금 볼때 MC_<리소스 그룹 이름><리전>의 요금을 확인해라.
안그러면 나처럼 aaa 리소스 그룹 요금만 보고 좋아했다가 나중에 이런 xx..! 같은 현상이 나온다.
(5천원인줄 좋아했다가 18배 나온 사람이 하는 말)
요금에 놀라긴 했지만 왜 AKS를 생성하면 리소스 그룹이 또 생성되는지 궁금해서 찾아봤다.
'Cloud Side > Platform >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ERROR: A different object named 'x' already exists in clusters in your kubeconfig file. (0) | 2023.04.18 |
---|---|
[Azure] Kubernetes를 이용한 MSA 배포 셋팅 일대기 (0) | 2023.04.14 |
[Azure] AKS를 이용해서 서버 배포하기 (3) AKS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with.kompose (0) | 2022.08.05 |
[Azure] AKS Failed to pull image 오류해결 (0) | 2022.08.05 |
[Azure] AKS를 이용해서 서버 배포하기 (2) Kubernetes 클러스터 만들기 (0) | 2022.08.03 |
댓글